'찐' 경제적 자유를 향해

돈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이룹니다.

기업분석

두올 분석 주가 배당 매출, 현대, 기아가 잘나가면 나도 잘나가

RichSon 2024. 10. 15. 23:49

본 포스팅 외 두올 사업보고서를 정독하신다면 더욱 도움됩니다.

두올 사업보고서 바로가기


< 목 차 >

* 개요

1. 사업분석

2. 매출분석

3. 투자지표

4. 주가

5. 의견


현대차, 기아차는 자동차를 완성한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부품들을 한 대의 차로 모아 짠하고 완성품을 내놓는 것이다.

 

오늘 소개할 두올은 이 자동차에 들어가는 시트, 에어백을 주력 사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중국에 진출해 매출을 만들고 있다.


 

1. 두올 사업 분석

1) 사업 기간: 41년(1983년 법인 설립)

2) 주요 사업 내용: 자동차용 내장제 제조

ㄴ 국가별 매출 비중: 국내 42% + 아시아 17% + 유럽 56% + 아메리카 9% + (연결조정 -25%)

ㄴ 국내 기업 중 흔치 않게 국내 매출보다 해외 매출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ㄴ 현대/기아차의 해외현지화에 따른 동반 진출이 주요한 것으로 보임

ㄴ 즉 현대/기아차 실적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다고 할 수 있음

 


 

2. 대현 매출 분석

1) 매출: 우상향 (15년: 3,663억▶ 23년: 7,531억(205%))

2) 영업이익: 우상향 (15년 : 261억 ▶ 23년 : 441억 (169%))

3) 영업이익율: 약간 하락 (15년 : 7.13%  23년 : 5.86%)

ㄴ 매출은 꾸준히 상향하고 있으며 영업이익 또한 10년 동안 흑자를 유지함

ㄴ 그러나 영업이익율은 하락하는 모습이 아쉬움(완성차 업체에 자재를 공급하는 입장으로 가격 결정권 약함)


3. 두올 투자지표 (23년 기준)

1) PER: 5.6

   ㄴ 10미만으로 저평가 수준 (18년도 이후 가장 낮은 수준)

2) PBR: 0.56

   ㄴ 1미만으로 저평가 수준

3) ROE: 9.98

   ㄴ 자기자본 이익율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

4) 배당수익률 : 3.4%

   ㄴ 금리 인하 시기임을 고려하면 배당수익률은 나쁘지 않음

   ㄴ 꾸준한 배당을 유지하고 있어 금년에도 동일한 수준의 배당을 기대할 수 있음

5) 부채비율 : 121.3%

   ㄴ 100% 이상의 부채 비율이나 우려할 수준은 아님


4. 두올 주가

 두올 차트를 보기 전에 두올은 일단 주가에 나름대로 신경을 쓰고 있는 기업이다. 2020년 3월 주가 하락 시 과도한 주가 하락을 위한 자사주 방어 행동을 취했으며, 최근에는 자사주를 100만주 소각하기도 했다.

1) 일단위 차트

 두올 일단위 차트는 최근 좋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24년 7월 5~120일선이 한점으로 모이면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었으나 곧 데드크로스를 만들면서 고꾸라졌다. 그러던 것이 8월 저점을 찍고 최근 120일선을 넘는 골든크로스를 만들고 있다. 단기 조정 이후 반등이 이어질지 살펴봐야하는 구간이다. 최근에 음봉없이 연일 양봉이 이어지고 있는데, 여기에 거래량까지 더해진다면 향후 긍정적인 단기 흐름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일단위 차트 보러가기(클릭)

 

 

2) 주단위 차트

 두올 주단위 차트를 살펴보면 중장기적으로 주가의 상승 흐름을 기대할 수 있는 자리다. 최근의 주가가 120일선을 기준으로 저항받으면서 다시 튀어올랐고 상승하는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 주단위 차트의 가장 최근 고점인 약 4,050원을 넘느냐가 주요 포인트가 될 것 같다.

주단위 차트 보러가기(클릭)


 

 

5. 의견

 

두올은 현대/기아차와 함께 성장하고 있다.

 

아쉬운 점은 매출은 상승하고 있으나 남기는 돈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기아차의 의존도가 높은 것도 아쉽다.

 

그러나 최근 현대/기아차의 행보가 무섭다. 세계 굴지의 브랜드들을 조금씩 조금씩 따라가거나 앞지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보라면 그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도 함께 클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두올이 영위하는 사업이 진입장벽이 높은 만큼 다른 기업이 쉽게 진출하여 뺏을 수 있는 영역은 아닌 것도 긍정적이다.

 

최근의 주가 흐름을 본다면 4,050원이라는 전고점이 돌파되느냐 마느냐가 중요한 대목이 될 것 같다.

 

※ 본 포스팅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결정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